
도심형 SUV의 투박함은 득일까 실일까?
[김종훈의 차문차답(車問車答)] 10년 만에 신형으로 돌아왔다. 지프의 콤팩트 SUV 컴패스는 원래 지프의 막내였다. 도심형 크로스오버로 한 시대를 책임졌다. 성적이 특출 나진 않았다. 지프라서 궁금하지만, 정작 더 보편적인 다른 브랜드 SUV를 택하게 된달까. 그 사이, 동생이 생겼다. 레니게이드다. 이제 개성과 취향은 동생 레니게이드에게 물려줬다. 대신 효율과 보편을 최우선 가치로 요구하는 콤팩트 SUV 시장에 대응해야 할 임무를 맡았다. 궁금증은 명확했다.

Q. 신형 지프 컴패스는 시대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까?
콤팩트 SUV 시장은 기대치가 높다. 크기, 공간, 효율 등 뭐 하나 빠지면 외면한다. 어떤 부분이든 기본 이상을 요구하는 마음이 생기기 시작하는 세그먼트인 까닭이다. 가격과 욕망이 맞물리는 시작점이랄까. 그보다 작으면 어느 정도 절충하게 마련이니까. 두루두루. 콤팩트 SUV가 해내야 하는 영역이다. 가족 수가 늘어나거나, 고급스러운 소재를 원하지 않는 이상.
신형 컴패스는 보다 당당해졌다. 차이가 확연하다. 콤팩트 SUV가 콤팩트란 단어와 어울리지 않는 시장 흐름을 반영한 셈이다. 구형 컴패스는 당당하기보다 아기자기했다. 도심형 크로스오버를 지향했으니까. 이젠 SUV답게 어깨 펴고 다부진 면을 강조한다. 세븐 슬롯 그릴이 중심을 잡고, 좌우로 뻗어나간 전조등이 폭을 넓혔다. 덕분에 기함인 그랜드 체로키와 형상이 비슷해졌다. 기함이 연상되는 콤팩트 SUV라는 점은, 확실히 욕망을 자극한다.

커진 차체는 공간에 기여한다. 이제 2열 좌석이 좁아서 못 타겠다는 콤팩트 SUV는 드물다. 과거 중형 SUV 공간이 부럽지 않을 수준이다. 신형 컴패스 역시 2열 공간을 넉넉하게 확보했다. 물론 넉넉함의 범위는 개인차가 있다. 하지만 과거 대비 변화라는 점은 확실하다. 과거 콤팩트 SUV를 타본 사람이라면 차이가 더 크다. 확실히 콤팩트라는 단어는 잊게 한다.

실내 디스플레이에 신경 쓴 점도 비슷한 맥락이다. 터치 디스플레이는 당연하고, 크기마저 하루가 다르게 커진다. 디지털 화면이 센터페시아를 채워야 신차처럼 보이는 시대다. 신형 컴패스 역시 잊지 않았다. 외관과 크기, 공간과 편의장치로 대변되는 신차 만들기의 기본을 따랐다. 그러니까 상품성 확보. 신차가 나오면 꼭 한 번은 등장하는 그 단어.

신형 컴패스의 상품성은 전 세대보다 혹할 만한 요소인 건 맞다. 하지만 신형이 경쟁할 상대는 전 세대보다는 타 브랜드다. 상품성을 확보한 점은, 이제 경쟁할 기본 준비가 끝났다는 뜻이기도 하다. 어쩌면 상품성은 경기장에 들어서기 전 계체량 통과 조건이랄까. 실제 경기에서 중요한 건 훈련을 토대로 만들어낸 기량과 전략이다. 그 지점에서 신형 컴패스는 뭘 준비했을까?
투박함. 신형 컴패스는 이 단어를 내세운다. 내세운다기보다는 이런 특성을 품었다. 맞다. 투박함이라는 단어가 요즘 시대에 각광받는 단어는 아니다. 특히 도심이 어울리는 매끈한 SUV가 주류인 지금이라면 더욱 거리가 멀다. 상품성이란 단어와도 섞이지 않는다. 하지만 지프라는 브랜드의 역사가 바탕에 깔리면 조금 달라진다. 그 투박함이 장점이 되기도 한다. 좋고 나쁜 기준을 벗어난 다른 SUV라는 인식으로 이끈다. 다를 때 고유 영역이 생기니까.

정통 SUV 브랜드가 만든 다른 콤팩트 SUV. 신형 컴패스는 SUV 특성을 감추지 않는다. 차체를 침착하게 다독이기보다 큰 키의 거동을 드러낸다. 도로의 자잘한 요철보다 험로의 굵직한 골에 더 잘 대응하는 하체다. 도심 주행을 배려했지만, 험로를 지우지 않았다. 도심에서도 험로가 연상되는 움직임은 의외로 신선하다. 이제 도심형 SUV가 주류인 까닭이다.

과거에는 SUV에 세단 같은 편안함을 요구했다. 그런 흐름이 이어져 도심형 SUV 세상이 됐다. 지금도 유효하다. 하지만 세상이 변한 만큼 이제 반대 경우가 특별해질 때질 수 있다. 좋은 의미든, 나쁜 의미든. 이제 정통 SUV가 스포츠카 못지않게 선망의 대상이잖나. 그런 점에서 과거 SUV 성격이 배인 도심형 SUV는 오히려 신선할 수 있다. 투박하더라도, 아니 투박해서 더. 거기에 도심형 SUV의 상품성까지 확보했다면야.

신형 컴패스는 정통 SUV의 특성을 희석시키지 않고 시대의 요구를 담으려 했다. 물론 옛 감성을 버리지 않은 점이 철학일지, 기술 부족일지 아리송하긴 한다. 하지만 투박함 자체는 시대 흐름에 나쁘지 않다. 모두 매끈하면 투박함이 특별해지니까.
자동차 칼럼니스트 김종훈
김종훈 칼럼니스트 : 남성지 <아레나 옴므 플러스>에서 자동차를 담당했다. 자동차뿐 아니라 남자가 좋아할 만한 다양한 것들에 관해 글을 써왔다. 남자와 문화라는 관점으로 자동차를 다각도로 바라보려고 한다.

